2025년 상생페이백은 정부가 카드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통해 환급해주는 정책입니다. 이 글에서는 상생페이백의 신청 방법과 사용 방법을 명확히 정리하여 혼란을 줄이고자 합니다.
상생페이백 개요
상생페이백 정의
상생페이백은 정부가 카드 소비를 늘리기 위해 시행하는 정책으로,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작년 대비 증가한 소비액의 20%를 환급해줍니다. 개인당 월 최대 10만 원, 총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환급 방식
환급은 카드 결제 시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대신,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별도로 지급되며, 환급된 금액은 특정 앱이나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신청 및 사용 절차
신청 방법
- 상생페이백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여 신청합니다.
- 카드 사용 실적이 증가하면 환급 대상이 확정됩니다.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 지급됩니다.
사용 가능한 매장
- 전통시장
- 동네 식당
- 마트 등 소상공인 매장
이 외에도 제로페이 및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결제가 가능한 매장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 불가 매장
- 백화점
- 대형마트
- 기업형 슈퍼마켓(SSM)
- 배달앱, 온라인 쇼핑몰, 무인 키오스크 등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사용 방법 및 주의사항
카드 결제와 포인트 차감
카드 결제를 하더라도 페이백 포인트는 자동으로 차감되지 않습니다. 실제 소비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카드 사용은 단순히 소비 실적을 기록하는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필수 앱
환급받은 금액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로페이 또는 온누리상품권 앱과 연동이 필수적입니다. 이 앱을 통해서만 포인트 차감이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은 꼭 써야 하나요?
네, 포인트 차감은 해당 앱 또는 가맹점에서만 가능합니다.
Q2: 카드만 있으면 되는 거 아닌가요?
아닙니다. 카드 사용은 소비 실적 기록용이며, 실제 사용은 상품권 앱을 통해 진행해야 합니다.
Q3: 배달앱은 안 되나요?
기본적으로 불가하지만, 일부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할 때 예외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정리
상생페이백은 자동 포인트 차감 방식이 아니며, 환급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지급됩니다. 해당 앱에 등록하고 지정된 가맹점에서 결제할 때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드 결제는 일반 결제와 동일하며 페이백 포인트와 직접 연결되지 않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혼동 방지 TIP: “신청 → 카드 소비 → 상품권 지급 → 앱에서 사용”이라는 흐름을 기억하세요!
이전 글: 24시간 운영하는 맥도날드의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