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가 드디어 정식 운항을 시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강버스의 운영 시점, 선착장 정보, 연계 교통수단 및 이용 팁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서울의 새로운 대중교통 수단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세요.
한강버스 운영 일정
정상 운영 시점
한강버스는 2025년 9월 18일 오전 11시부터 마곡에서 잠실까지의 7개 선착장 구간이 운항을 시작합니다. 초기 운항은 하루 14회,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 37분까지 진행되며, 주중과 주말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운행됩니다.
운항 확대 계획
10월 10일부터 출퇴근 시간대에 증편이 이루어지며, 향후 연말까지는 하루 48회 운항 체제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10월부터는 출퇴근 급행 노선도 운영됩니다.
한강버스 선착장 소개
한강버스는 마곡, 망원, 여의도, 옥수, 압구정, 뚝섬, 잠실의 7개 선착장을 연결합니다. 전체 운항 구간은 약 28.9km이며, 마곡에서 잠실까지의 소요 시간은 약 127분입니다.
각 선착장별 연계교통수단
-
마곡 선착장: 무료 셔틀버스(발산역~양천향교역, 약 15분 간격) 및 따릉이 대여소가 설치됩니다.
-
망원 선착장: 맞춤형 버스 및 노선 조정이 예정되어 있으며, 30대 이상의 따릉이 대여소가 배치됩니다.
-
여의도 선착장: 5호선과 9호선의 여의나루역과 도보로 연결되며, 여러 간선 및 지선 버스 노선과 연계됩니다.
-
옥수 선착장: 3호선과 중앙선의 옥수역과 인접하여 버스 정류장과 연결됩니다.
-
압구정 선착장: 주요 버스 노선이 선착장까지 연계되며, 무료 셔틀버스(신사나들목~압구정 선착장)도 운영됩니다.
-
뚝섬 선착장: 2호선 뚝섬역과 가까워 접근성이 우수하며, 여러 버스 노선과 연결됩니다.
-
잠실 선착장: 지선 버스가 선착장 근처에 정차하도록 조정되며, 무료 셔틀버스(잠실새내역~종합운동장역)도 운영됩니다.
한강버스 이용 팁
-
요금: 기본 운임은 1회 3,000원이며, 기후동행카드는 횟수 제한 없이 탑승 가능합니다. 환승 할인도 제공됩니다.
-
배차 간격: 초기에는 1시간~1시간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10월 10일부터는 출퇴근 시간대에 15분 간격으로 급행운행이 시작됩니다.
-
운항 시간: 정식운행 시 초기 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 37분까지이며, 확대 운행 후에는 평일 오전 7시부터 시작합니다.
-
친환경 선박: 하이브리드 및 전기 선박이 사용되며, 자전거 거치대와 교통약자 배려석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
운항 중단 가능성: 기상 악화 시 운항이 취소될 수 있으니, 출발 전에 실시간 운항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한강버스는 언제부터 운행되나요?
2025년 9월 18일 오전 11시부터 정식 운항을 시작합니다.
한강버스의 운임은 얼마인가요?
기본 운임은 1회 3,000원이며,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면 횟수 제한 없이 탑승할 수 있습니다.
각 선착장에 어떻게 접근하나요?
각 선착장마다 무료 셔틀버스, 따릉이 대여소, 지하철 및 버스 노선이 연결되어 있어 접근이 용이합니다.
한강버스의 운항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초기 운항 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 37분까지이며, 확대 운영 후에는 평일 오전 7시부터 시작합니다.
한강버스를 이용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기상 악화 시 운항이 취소될 수 있으니, 출발 전 실시간 운항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